///
Search
🔟

3️⃣ 시작이 묻고, 클라이막스가 답한다

Tags
클라이막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는 차츰차츰 높은 어조로 논점을 강조하는 수사법을 ‘Klimax’ 라 불렀다고 합니다. 본래의 뜻은 ‘기우는 것', 즉 사다리(ladder)라고 한다네요. 사다리를 계속 올라가다 보면 정점에 이르는 데서 착안한 용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점]이라는 단어를 영어 표현에서 찾아보면, 그나마 가까운 것이 ‘peak’라는 표현입니다. 산꼭대기, 지붕이나 탑 따위의 뾰족한 끝, 최고점 등의 의미와 함께 쓰이죠. 클라이막스가 진행 과정의 절정을 뜻한다면, ‘peak’는 본래부터 정점인 것을 뜻합니다. 클라이막스는 ‘peak’에 비해서 보다 더 상대적인 개념, 맥락이 필요한 개념이라고 구분할 수 있겠죠.
그러니 이야기에서의 클라이막스를 찾기 위해서는, 이야기의 구조적 맥락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크게 어렵지 않은 일이에요. 우리가 흔히 이야기를 분석할 때 쓰는 오래된 도구들, [기 - 승 - 전 - 결]의 구조나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의 구조가 클라이막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기 - 승 - 전 - 결]의 구조에서는 [전]이,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에서는 [절정]이 클라이막스를 포함한다고 하죠.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갈등은 점점 고조되고, 그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는 지점을 우리는 클라이막스라고 부릅니다.

창작자가 클라이막스를 다루는 방법

진짜 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 이야기를 만드는 창작자의 입장에서 클라이막스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한 고민 말입니다. 갈등의 최고조, 이야기의 정점 같은 표현들은 사실상 소비자나 비평가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말들이죠. 이야기 전체가 완성되고 난 후, 그것을 분석하는 입장에서 할 수 있는 말이에요. 하지만 창작자는 이야기를 만드는 사람이잖아요. 분명히 클라이막스를 만들어야 하긴 하는데, 그 기준을 잡기가 어렵습니다. 갈등은 어떤 기준으로 덜 고조됨과 더 고조됨을 나누나요? 이야기의 높음과 가장 높음은 무엇을 기준으로 나누나요?
클라이막스는 중요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중요한 부분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말해주지 않았어요. 완성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클라이막스를 찾는 일은 쉽죠. 하지만 창작자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창작자는 클라이막스를 찾는 사람이 아니라, 만들어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저는 창작자 입장에서의 클라이막스를 다시 정의해 보려고 합니다. ‘갈등의 최고조' ‘이야기의 정점' 같은 모호한 표현을 그만 쓰기 위해서 말입니다. 창작자가 클라이막스를 어떤 개념으로 대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클라이막스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서요. 뭔가 대단한 것을 말씀드릴 것 같지만, 사실 제 대답은 무척이나 간단합니다.

[클라이막스] = [시작]에서의 질문에 대답하는 장면

지난 [신스텔러 3회] 저주받은 주인공들 : 균형 상태와 균형 상태의 파괴에서 이야기한 적이 있었죠. 이야기는 [처음] 단계를 지나 [시작] 단계에서 시동을 겁니다.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행동하기 시작하고, 이를 방해하는 세력들이 등장하여 갈등 구도가 형성됩니다. 이 지점을 저는 [시작]이라고 불렀어요.
그리고 [시작]에서 독자(관객)들은 하나의 질문을 떠올립니다. ‘과연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을 실현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이요. 이것을 궁금해하기 시작하면 이야기를 끝까지 소비할 수밖에 없습니다. 독자(관객)을 이야기 속에 붙들어 두게 하는 힘이죠.​
다시 클라이막스로 돌아와서, [클라이막스]는 [시작]에서 던져진 질문에 대답하는 장면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일종의 스포일러가 될 만한 정보가 드러나는 장면이 되는 것이죠. 주인공은 [시작]에서 드러난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거나, 그렇지 못하거나 둘 중의 하나일 겁니다. 이 대답이 궁금해서 이야기를 지켜본 관객들은, 클라이막스를 전부 소비하고 나서야 대답을 얻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클라이막스] 이후에는 반드시 [결말]이 따라붙게 됩니다.
_
희곡 <햄릿> 질문(시작) = 햄릿은 과연 아버지의 복수를 할 수 있을까? 대답(클라이막스) = 햄릿과 레어티스의 결투(+학살) 장면 이후, 그렇다.
_
영화 <베테랑> 질문(시작) = 서도철 형사는 조태오를 잡을 수 있을까? 대답(클라이막스) = 명동(아트박스 앞) 대난투 이후, 그렇다.
_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 질문(시작) = 세자(저하)는 외척 세력과 좀비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를 수 있을까? 대답(클라이막스) = 아직 모른다. [클라이막스]는 아마 시즌 3는 되어야 확인할 수 있을 듯.
다시 한 번 ‘갈등의 최고조' ‘이야기의 정점'이라는 오래된 표현들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딱히 틀린 말은 아니에요. 갈등의 ‘최고조'라는 말은, 이야기 속 모든 갈등 중 가장 격한 갈등이라는 뜻이죠. 그러니 더 이상 추가적인 갈등은 불가능해요. 클라이막스(Klimax)는 차츰차츰 높은 어조로 논점을 강조하는 수사법이라고 했잖아요? 더 이상 높아질 어조가 없다면, 더 이상 높아질 갈등이 없다면, 자연스럽게 이야기는 결말로 넘어가게 돼요. ‘이야기의 정점'이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요. 가장 높은 곳에 올랐다면, 이제 내려오는 일만 남은 거예요. ‘정점’의 영어 표현 ‘Peak’를 기억하세요. 더 이상 오를 곳이 없는 가장 높은 곳. 이야기가 그 지점에 도달했다면, 자연스럽게 내려와야 하겠죠.​
물론 우리 창작자들에게 중요한 내용은, 가장 높은 곳이나 최고의 갈등 같은 표현이 아니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클라이막스는 이야기가 독자에게 던진 질문에 대답하는 장면이에요. 그 대답은 곧 스포일러가 되기 때문에, 이야기를 더 이상 길게 끌고 갈 수는 없어요. 만약 [클라이막스]로 이전의 갈등을 해소한 후 또 다른 갈등이 시작된다면, 이전의 [클라이막스]는 더 이상 [클라이막스]가 아닌 셈이 되는 거예요.

클라이막스는 주인공에게 양보하라

지난 [신스텔러 10회] 조력자 카드를 사용하는 5가지 방법에서도 다뤘던 내용이지만, 중요하니까 한 번 더 이야기할게요. [클라이막스]를 조력자나 방해하는 세력, 빌런 등 주인공이 아닌 인물들에게 양보하지 마세요. 특히 너무나 매력적인 조력자는 [클라이막스]에서도 그 매력을 숨기지 못하고 활약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렇게 두지 마세요. [클라이막스]는 오직 주인공이 활약할 수 있어야 해요. 조력자를 비롯한 다른 인물들이 주인공을 [클라이막스]로 이끌 수는 있지만, [클라이막스]를 지나 [결말]로 가는 사람은 주인공이어야 해요. 친구들과 함께 갈 수는 있겠지만, 반드시 주인공이 앞장서도록 하세요.
만화 <원피스>의 ‘정상 결전' 장면에서, 붉은 머리 샹크스가 나타나 아주 유명한 대사를 날리죠. “이 전쟁을 끝내러 왔다!” 하지만 샹크스가 <원피스>를 끝낼 수는 없어요. <원피스>는 주인공인 루피가 끝내야 해요. 정상 결전에서의 샹크스는 그저 ‘조력자'의 역할을 할 뿐이죠.
만약 이야기를 어떻게 끝내야 할지 어렵다면, [시작]과 [클라이막스]의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시작]에서 질문이 던져졌다면, [클라이막스]에서는 대답을 해야 해요. 질문에 대한 대답과 동시에 이야기는 [결말]로 흘러가구요. 이 흐름이 자연스럽지 않다면, 분명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어요. 사실 [결말]은 큰 틀에서 볼 때 둘 중 하나에요. 주인공이 자기 욕망을 실현하는가? Yes or No. (물론 트와이스는 그렇게 묻지 않았지만)
다음 이야기
글. Shin(김신) "그러고 보면 우리의 창작 이론은 왜 고대 그리스 수준에서 머물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야기 창작론이 학문의 영역에서 더 깊이 다뤄진다면, 저처럼 어설픈 사람이 이런 글을 쓸 필요도 없을 텐데요."
편집자. "이야기의 본질이 변하지 않듯, 이야기를 추구하는 방식도 변하지 않나봐요."
안전가옥과 사전협의 없이 본 콘텐츠(글, 이미지)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