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4️⃣

갈등의 원리 : 공감과 선동 사이

Tags
갈등
그래비티
안티고네

“드라마는 갈등이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누가 한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몇 년 전 모 방송국의 공채 시험에 도전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작문 주제가 이 문장이었습니다. 드라마PD를 뽑는 시험이었어요. 아마도 이야기에서 갈등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강조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조금 촌스럽긴 하지만, 저 문장에 충분히 동의합니다. 이야기는 갈등 없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거든요.

[주인공 - 욕망 - 행동] vs [방해]

[주인공 - 욕망 - 행동] 기억하시나요? 이야기를 이루는 하나의 단위라고 말씀드렸었죠. 사실 이 뒤에 정말 중요한 것이 하나 빠져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잠깐 언급했던 [방해]라는 녀석입니다.
[방해]는 갈등을 만드는 녀석입니다. 욕망을 가진 주인공이, 그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행동할 때, [방해]는 그 앞을 막아섭니다. 주인공이 쉽사리 자기 욕망을 실현하지 못하도록 하는 존재죠. 간단히 말하면, [방해]가 등장함으로써 [갈등]이 창조됩니다.
일종의 축구 경기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월드컵 결승전을 떠올려 보죠. 지난 2018 러시아 월드컵 결승전, 프랑스와 크로아티아가 맞붙습니다. TV 화면에 이런 자막이 나왔죠.

<프랑스 vs 크로아티아>

둘 중 하나는 승리하여 월드컵의 우승자가 될 겁니다. 당연히 다른 하나는 패배하겠죠. ‘VS(versus)’의 원리입니다. 이야기에서의 갈등도 이와 같은 원리로 구성됩니다. 주인공은 자기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을 합니다. 그러나 쉽지 않죠. 방해하는 세력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명확한 갈등이 만들어지고 나면, 독자들은 이야기의 다음을, 이야기의 결말을, 갈등의 끝을 보고 싶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월드컵 결승전을 보는 마음과 비슷합니다. 물론 축구 경기를 보는 이유는 승부 이외에도 다양합니다. 누가 골을 넣을지, 몇 골이나 넣을지, 스코어는 어떻게 될지… 하지만 이런 것들이 누가 승리하고 누가 패배할지에 대한 호기심보다 크지는 않을 겁니다. 승부는 곧 갈등입니다.

서로 화해할 수 없는 거대한 갈등

갈등은 ‘서로 화해할 수 없는' 두 입장입니다. 서로 화해할 여지가 없을수록 갈등은 커지기 마련이죠. 프랑스와 크로아티아는 월드컵 우승을 놓고 화해할 수 없습니다. 누구도 우승을 양보할 생각이 없는 거에요. 그러니까 90분동안, 혹은 그 이상의 시간동안 온 힘을 다해 상대편 골문으로 공을 차 넣으려고 하는 거겠죠.
이런 ‘서로 화해할 수 없는' 갈등은 축구 뿐 아니라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안락사, 동성애, 사적 복수, 임신 중단, 난민 복지’ 같은 문제들이 그렇습니다. 충분히 이야기에서 다룰 법한 내용들입니다. 아주 신중하고 예민하게 다뤄야만 하는 문제들이기도 하죠.
창작자들은 위와 같은 문제들에 대해 나름의 입장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야기를 만드는 동안에는 그 입장을 잠시 내려놓아야 합니다. <찬성 vs 반대>의 형태로 갈등하고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창작자는 둘 중 하나의 입장이겠지만, 이야기를 만드는 동안에는 그것을 들켜서는 안됩니다. 한 쪽 편을 들면서 이야기를 만든다면, 그것은 이야기라기보다는 설교문에 가깝습니다.
화해할 수 없는 두 입장은 모두 설득력 있게 그려져야 합니다. 양측의 주장은 모두 ‘유효'하여야 합니다.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뜬금없거나 억지를 부려서는 안됩니다. 두 입장은 우리를 둘러싼 이 세계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주장이어야 합니다.
종교적 믿음이 강한 기독교 신자인 한 여자가 있다. 낙태는 죄악이라고 교회에서 배우면서 자랐다. 여자도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낙태는 잘못이라고 믿고 있다. ​ 그런데 이 여자는 강간을 당했다. 정서적으로 몹시 위험한 지경에 처해 있다. 그리고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법은 여자가 요구하면 낙태를 허용하게 되어 있다. 여자는 배가 불러오는 것을 참을 수 없다. 매일같이 자기에게 일어난 끔찍한 일이 떠올라 견디기 어렵다. 자기를 강간한 사람의 아이를 낳아 기른다는 생각은 더 참을 수 없다. 아이는 평생 고통을 연상시킬 테니 말이다. ​그러나 여자가 믿는 종교는 낙태를 하면 저주를 받는다고 말하고 있다. 낙태를 안 하면 이 세상에서 저주를 받는 셈이고, 낙태를 한다면 다음 세상에서 저주를 받게 되는 셈이다.
위의 (끔찍한) 이야기는 아주 고전적인(=오오오올드한) 화해할 수 없는 입장입니다. 두 입장은 모두 설득력이 있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아이를 낳고 자기를 희생해야 할까요? 신앙을 포기하고 낙태를 해야 할까요?
아 물론, 저는 임신 중단을 하는 편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기독교 신자도 아니고, 낙태를 해서 지옥에 간다는 소리를 믿지도 않으니까요. 하지만 이야기 속 여자에게 임신 중단을 권할 자신은 없습니다. 종교적 믿음이 강한 기독교 신자라잖아요. 낙태는 죄악이라고 교회에서 배우면서 자랐다잖아요. 낙태하면 지옥간다고 굳게 믿고 있다잖아요. 나와는 전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이니까, 그러니까 이해할 수 밖에 없는 거에요. 내가 저 여자의 입장이었으면, 나라도 쉽게 임신 중단을 선택하기 어려웠을 테니까.

갈등을 다루는 기술 : 그냥 보여줘라

서로 상반된 주장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정서'에 호소해야 합니다. 이야기를 만드는 단계에서의 창작자는 무엇이 옳은지 독자에게 가르치는 데에 관심을 두면 안됩니다.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여자의 입장에 서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여자가 겪는 딜레마의 복잡함을 느끼고,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음을 보여줘야 합니다. 그리고 누구든지 이러한 문제를 만나면 상당히 고통스러우리라는 점을 이해시키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선과 악의 이분법에서 벗어나세요. 서로 화해할 수 없는 입장을 펼쳐놓고, 독자로 하여금 그 상황에 빠져들도록 만들어 보세요. 창작자가 이러쿵 저러쿵 간섭하기 시작하면, 독자들은 순간적으로 위화감을 느끼거든요. 아무리 둔한 사람이라도, 독자가 되어 이야기 속에 빠져들면 예민해 지기 마련이잖아요. 독자들은 창작자가 무엇을 가르치려 하는지 금방 알아챌 것이고, 그 순간 이야기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무슨 수든 쓸 겁니다.

크리스토퍼 놀란, <다크 나이트>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다크 나이트 3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인 <다크 나이트>는 당시 ‘세계 경찰’을 자처했던 미국과, 미국이 선포한 ‘테러와의 전쟁'에 대한 비판적 상징을 담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러나 누구도 ‘자경단은, 세계 경찰은 나쁜 거야!’ 소리치며 선언하거나, ‘진정한 정의란 무엇인가?’ 중후한 목소리로 묻지 않습니다. <다크 나이트>의 이야기 구조는 놀라울 만큼 단순합니다. 배트맨(브루스 웨인)이 고담시의 질서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이죠.
배트맨은 그야말로 혼돈의 화신(?)인 조커와 대립하고, 조커는 배트맨의 신념과 정체성을 흔들기 시작합니다. 배트맨은 서로 화해할 수 없는 입장들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집니다. 문제를 해결하려 하면 할 수록 더 커다란 문제를 맞이하게 됩니다. 배트맨은 자신이 조커와 같은 존재임을 부정할 수도, 긍정할 수도 없는 상태에 빠집니다.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이야기는 파국을 향해 치닫죠.
놀라운 것은 이 영화를 본 관객들이 배트맨의 고군분투기를 마주하며 자신이 속한 세계의 문제들을 떠올렸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야기의 힘이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야기 창작자의 정의正義

​여러분들은 분명 정의로운 사람들일 겁니다. 세상이 더 나아지기를 원하고,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길 원하죠. 여러분들의 이야기가 그것들을 이루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원할 겁니다. 그러나 마음만 앞서 이야기를 다루는 기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저 여러분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이야기에 마구잡이로 등장 시킨다면, 어쩌면 그 누구도 설득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아무도 여러분의 이야기를 끝까지 읽지 않을수도 있어요.​
날카로운 논리와 뾰족한 메세지로 상대를 설득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변화를 촉구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에 적합한 형태가 아닌 것 같아요. 이야기는 가장 빠른 길을 택하지 않습니다. 천천히 돌아서 갑니다. 저주에 빠진 주인공, 화해할 수 없는 입장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을 내세우고, 그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지 그저 보여줍니다. 독자는 그저 이야기가 재미있습니다. 주인공의 다음 행동을 궁금해하고, 이야기의 결말에 강한 호기심을 느낍니다. ‘나라도 그랬겠다’를 중얼거리며, 이야기의 결말을 마주합니다.​
그리고 언젠가 떠올릴 날이 있겠죠. 삶의 한 자리에서 우리의 이야기를 떠올릴 때가 있을 거에요. 그가 정의로운 행동을 하는 데에 우리의 이야기가 조금은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거에요. 이야기의 힘은 그런 거라고 생각해요. 한 사람의 마음에 작은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거요. 그 물결이 언젠가 그 사람의 삶을 바꾸고, 그 사람이 언젠가 이 세상을 조금 더 나은 곳으로 데려갈 거에요. 이것이 우리의 정의正義 가 아닐까요?
다음 이야기
Shin이 소개하는 좋은 이야기 크리스토퍼 놀란, <다크 나이트> 알폰소 쿠아론, <그래비티>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글. Shin(김신) "그 몇 년 전 드라마PD는 작문 시험에서 떨어졌어요. 작문에서 떨어지다니 자존심은 조금 상했지만, 이제와 생각해 보면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편집. May(김미루) "이번 회차 말미에 '나라도 그랬겠다'라는 말이 계속 맴돌아요. 나라도 그랬겠다."
안전가옥과 사전협의 없이 본 콘텐츠(글, 이미지)의 무단 도용, 전재 및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